코인 입문, 코인을 구매하고 해외거래소로 보내는 방법
코인을 완전 처음 하시는 분은 이 글을 추천드립니다.
먼저 코인은 주식과 다른점이 있습니다.
'탈중앙화' 인데요, 정부의 개입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사설 거래소를 통해 거래해야 합니다.
보통 업비트와 빗썸을 가장 많이 씁니다.
농협은 빗썸과,
케이뱅크는 업비트와 연동되어있습니다.
농협과 케이뱅크 계좌를 만들고 빗썸과 업비트에 연결을 해야합니다.
국내거래소로 원화 입금
업비트는 이렇게 생겼고
빗썸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둘이 비슷하죠?
케이뱅크 혹은 농협 계좌에 돈을 넣어둔 상태에서
업비트, 빗썸에서 원화를 클릭하고 "입금하기" 를 누른 후
카카오톡 등을 통해 전자서명을 하게되면 입금처리가 됩니다.
해외거래소로 코인 송금
빗썸을 이용하면 USDT(테더)를 보내는 것이 편하고 좋습니다.
업비트를 사용할 경우, 리플(XRP)과 트론(TRX)을 추천드립니다.
가장 유명한 해외거래소로는 바이낸스가 있는데요,
아주 탄탄하며 UI가 간단해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먼저 아래의 링크에서 바이낸스 거래소에 가입을 합니다.
https://www.binance.com/en/activity/referral/offers/claim?ref=CPA_001W3U17PP
Friends Referral Program | Refer & Earn | Binance Official
Complete KYC verification within 7 days after the reward is available for redemption.
www.binance.com
한국어를 공식지원하지 않습니다.
영어가 불편하신 분들은 PC로 하시면 편합니다.
화면에 마우스 우클릭을 한 다음에, '한국어로 번역'을 누르면 됩니다.
크롬, 엣지 브라우저에서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영어 항상 번역' 을 체크해주면 앞으로 영어는 한글로 표시가 됩니다!
시작하다 버튼을 눌러주면
이메일로 가입을 해줍니다.
가입을 완료했다면, KYC(신원증명)을 해야합니다.
우측 상단의 사람모양 클릭 - '확인되지 않음' 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신원증명을 해야합니다.
성, 이름,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성 이름은 여권명과 동일하게 넣어줍니다.
주소를 입력합니다.
네이버 영문주소에 입력하면 빠릅니다.
제일 상단에 나와있는 네이버주소를 입력해볼까요?
이제 신원증명을 어떤 것으로 할건지 선택할 수 있는 곳이 나옵니다.
위에서부터,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여권입니다.
어떤것으로 하던 상관은 없습니다.
저는 주민번호 뒷자리때문에 여권으로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신분증의 사진과 동일한지 사진촬영을 합니다.
컴퓨터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QR코드가 나오니, 휴대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한 다음, 사진촬영을 하면 됩니다.
실물을 확인하기 위해,
눈을 깜빡이고
입을 벌리고
도리도리, 끄덕끄덕을 시킵니다.
그리고 완료가 됩니다!
국내거래소에 해외거래소 등록
이제 국내거래소와 해외거래소를 연동하기 위해,
국내거래소에 해외거래소 지갑을 등록해야합니다
해외 거래소의 지갑주소를 알아볼까요?
앱에서 우측 하단의 Wallets을 클릭합니다.
Search에서 코인명을 검색하면 되는데요,
XRP(리플), TRX(트론), USDT(테더) 등을 선택합니다.
코인은 서로 같은 코인의 지갑으로만 전송할 수 있으니
트론을 리플로 보내면 안됩니다.
바이낸스에서 지원하는 XRP(리플)의 체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업비트와 빗썸에서는 Ripple 네트워크만 지원하니, Ripple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어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지 보려면,
업비트와 빗썸에서 각각 출금하기를 누르면 네트워크가 나옵니다.
바이낸스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했다면 위와 같이 주소가 나옵니다.
Deposit address : 지갑의 주소
XRPTag : 거래소에서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태그
코인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tag 혹은 memo 가 있는 경우도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꼭 확인을 잘해서 입금을 해야합니다.
혹시라도 누락될 경우 찾을 순 있지만 찾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습니다.
정리
이제 그림 한장으로 정리하면 이렇게 됩니다.
은행계좌에서 국내거래소로 원화를 입금하고,
국내거래소에서 코인을 구매하여 해외거래소로 보냅니다.
다른 핫월렛(메타마스크 등)을 직접 국내거래소에 넣을 순 있지만,
다계정, 다양한 지갑을 사용하는 경우 매우 번거로울 수 있으니
해외거래소를 하나만 등록해놓고 허브처럼 이용하는게 편할 수 있습니다.